청년들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청년내일저축계좌가 5월 1일부터 5월 19일까지 신청을 받습니다. 매월 10만원 이상을 저축하고 3년 간 근로활동 지속, 교육이수, 자금사용계획서 제출한다면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이행할 수 있습니다. 최대 1,080만원을 받을 수 있는 청년내일저축계좌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!
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대상
2023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그 대상을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 계층과 기준 중위소득 50% 초과 ~ 100% 이하로 나누어 자격요건이나 지원 내용이 다릅니다. 연령, (가구)소득, 가구, (가구)재산 등 4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.
가입연령은 신청 당시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청년이어야하며, 수급자, 차상위자,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자는 만 15세 이상 만 39세까지 적용이 가능합니다. 가구소득은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만 가능합니다.
현재 근로 활동 중이어야 하며 근로 사업소득이 월 50만원 초과 월 220만원 이하여야 가능합니다. 단 수급자, 차상위,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자는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월 10만원 이상만 발생하면 대상이 됩니다. 가구 재산은 대도시 3억 5천만원, 중소도시 2억원, 농어촌 1억 7천만원 이하여야 합니다.
내가 중위 소득 100%의 조건에 만족하는지, 소득이 어느정도 되는 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만일 이전에 청년키움희망통장이나 청년저축계좌 가입자라면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신청하기 위해서 기존 통장을 해지 후 새로 가입을 하셔야합니다.
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내용
청년 목돈마련이 목적인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청년 근로자가 3년동안 매월 10만원 이상 최대 50만원까지의 금액을 저축을 하면 정부에서 일정 금액을 매칭해줍니다. 중위소득 50% 초과 ~ 100% 이하의 대상자는 매월 근로소득장려금조의 정부지원금 10만원을 지원하며, 중위소득 50% 이하 대상자에게는 매월 30만원을 지원해줍니다.
예를들어 기준중위소득 50% 이하의 대상자가 3년동안 매월 10만원씩 납입했다면 본인 납입원금 360만원에 정부 지원금을 1080만원이나 받게 됩니다. 여기에 이자가 포함되어 수령을 받을 수 있게 되어 목돈마련에는 좋을 수 밖에 없습니다.
더불어 근로소득공제금, 탈수급장려금, 내일키움장려금, 내일키움수익금 등 정책 대상별 추가지원금 지급도 가능합니다.
청년내일저축계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만기시 까지 4가지 조건을 유지해야 합니다. 3년간 매월 10만원 이상 저축, 3년간 근로활동 지속, 10시간의 교육 이수, 자금사용계획서를 지출해야 만기시 적립금 전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. 교육은 가입 1년 이내 4시간 이상을 1년 이상 2년 이내에는 7시간 이상, 2년 이상이 되면 총 10시간을 채워야하며 아래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사업 기간동안 위 4가지 유지조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 적립중지 신청 없이 본인 적립금을 12개월 미납하는 경우, 본인 사망시, 압류나 가압류 등의 경우에도 정부지원은 받을 수 없습니다.
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
오는 5월 1일부터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이 시작됩니다. 기간은 5월 1일부터 5월 19일 까지입니다니다. 신청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하거나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방문하여 지원하실 수 있습니다. 행정복지센터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태어난 해의 뒷자리에 따라 신청일이 다르니 참고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신청할 때는 본인이 신청이 원칙이며 통장도 개설하셔야합니다.
여기까지 5월 1일부터 신청이 가능한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아직 신청기간이 아니지만 미리 준비해 두고 신청기간이 되면 꼭 놓치지 말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 이것 외에도 청년을 위한 정책들이 꽤 많으니 살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.